1987, 민주화의 피와 눈물로 새겨진 시간의 진실〈1987〉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시작으로 6월 민주항쟁까지의 격변의 시기를 다룬 한국 현대사 기반의 영화이다.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각 인물들의 시선을 따라 당시의 시대 정서를 입체적으로 구성해낸다. 그 시대를 살아낸 사람들의 용기, 망설임, 분노, 그리고 신념을 포착하며, 관객 스스로가 역사 속 목격자가 되게 만든다. 단순한 정치 영화가 아닌, 시대를 관통한 인간의 용기와 연대에 대한 감동적 기록이며, 권력에 맞선 수많은 ‘작은 사람들’의 목소리가 모여 거대한 변화를 만들어낸 과정을 섬세하게 담아낸 명작이다. 역사의 진실이 어떻게 뒤바뀌고, 또 어떻게 밝혀졌는지, 그리고 그 중심에 누가 있었는지를 잊지 않게 만든다.
줄거리
영화 〈1987〉은 한 젊은 대학생의 죽음으로 시작된다.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은 경찰 조사를 받던 중 사망한다. 그리고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황당한 공식 입장을 발표한다. 하지만 이것은 권력에 의해 조작된 은폐의 시작일 뿐이었다. 영화는 이 사건을 중심으로, 이를 묵인하려는 권력과 진실을 알리려는 사람들 사이의 치열한 싸움을 따라간다. 주요 인물은 다양하다. 사건을 은폐하려는 법무부 장관과 경찰 고위 간부, 보도지침을 따르지 않고 기사를 내보낸 기자, 진실을 알리기 위해 싸우는 검사, 용기를 낸 교도관, 거리로 나선 대학생들, 그리고 끝까지 희생자의 이름을 지켜낸 유가족. 영화는 이 모든 인물의 시선을 넘나들며 사건을 조망한다. 각기 다른 직업, 성향, 이념을 가진 사람들이지만, ‘진실’이라는 가치를 위해 때로는 행동하고, 때로는 침묵하며 고뇌한다. 영화의 중심축은 우현(김윤석)과 박처장(박희순) 같은 권력 기관 인물들과, 검사 최환(하정우), 기자 윤상삼(이희준), 교도관 한병용(유해진) 등의 인물들이 어떻게 진실을 향해 나아가는지를 통해 균형을 잡는다. 여기에 대학생 연희(김태리)의 성장 서사가 더해지며, 당시 일반 시민들이 어떻게 정치적인 존재가 되어갔는지를 자연스럽게 풀어낸다. 연희는 처음엔 정치에 무관심하고 소극적인 인물이지만, 친구의 죽음과 시대의 부름 앞에서 거리로 나선다. 결국 〈1987〉은 박종철의 죽음이 단지 한 개인의 비극이 아니라, 거대한 변화를 촉발시킨 불씨였음을 보여준다. 이어지는 6월 항쟁의 물결은 수많은 이름 없는 사람들의 연대가 만들어낸 기적과 같았다. 영화는 그 거대한 변화의 서사를, 숨 쉬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채워간다.
권력의 민낯
영화 〈1987〉은 진실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진실을 덮으려는 권력의 실체를 그린 기록이기도 하다. 김윤석이 연기한 치안본부 대공수사처장 박처장은 이 영화의 얼굴 없는 권력을 대표한다. 그는 박종철을 고문하다 숨지게 한 책임자 중 한 명이며, 조직적으로 사건을 덮으려 한다. 그의 말투는 단호하고, 감정은 배제되어 있다. 박종철이 죽었을 때, 그는 단순히 “처리해라”고 말한다. 그에겐 인간의 죽음보다 체제 유지가 중요하다. 이처럼 영화는 권력을 단순한 악당으로 그리지 않는다. 오히려 체제 속에서 ‘당연한 선택’을 하는 사람들로 묘사함으로써, 그들의 폭력이 얼마나 일상화되었는지를 드러낸다. 이런 맥락에서 가장 충격적인 대사는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것이다. 이 황당한 말 한마디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공식 설명으로 쓰였다는 사실은, 영화적 과장보다 더한 현실의 비극을 증명한다. 기자 브리핑에서조차 이 거짓말은 버젓이 발표되고, 대부분의 언론은 침묵한다. 이 침묵의 공포야말로 진짜 권력의 무기다. 영화는 반복적으로 침묵하는 인물들을 비춘다. 공포는 입을 다물게 만들고, 두려움은 진실을 왜곡시킨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소수는 말한다. 바로 이 말하는 사람들 때문에 체제는 흔들린다. 권력은 언제나 폭력과 은폐를 함께 쓴다. 그리고 이 둘은 가장 취약한 개인을 향한다. 〈1987〉은 이를 냉정하게 보여준다. 고문실, 형사의 책상, 경찰 병원, 보도 통제. 그 모든 장면이 실제보다 더 사실적으로 다가오는 건, 그것이 단지 ‘과거’의 일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되풀이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영화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경고한다. 이 체제가 다시 반복되지 않기 위해선, 기억해야 한다. 기억은 곧 저항이다. 이 영화가 중요하게 다룬 폭력은, 단지 신체적 고문만이 아니다. 정보의 왜곡, 말의 침묵, 진실의 지연. 이것 모두가 구조화된 폭력이다. 우리는 그것에 얼마나 쉽게 익숙해지는가. 그리고 익숙함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를 영화는 묻고 있다.
우리는 어떤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가
〈1987〉은 영화 이상의 무엇이다. 그것은 시대의 증언이며,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다. 박종철의 죽음은 비극이었지만, 그 죽음은 묻히지 않았다. 수많은 사람의 용기, 저항, 연대가 그것을 역사로 만들었다. 영화는 그 중심에 있는 영웅이 누구도 아니라고 말한다. 거대한 역사를 이룬 것은 지시를 거부한 검사, 감시를 뚫은 기자, 비밀을 전달한 교도관, 거리로 나선 학생들, 그리고 그 모든 흐름을 지지한 시민들이었다. 〈1987〉은 단지 “기억하자”는 말을 하지 않는다. 대신 관객에게 묻는다. 지금 우리는 어떤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가? 그리고 이 시대에서 나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우리의 일상 역시 누군가의 침묵과 선택 위에 세워져 있다. 권력의 부당함은 언제든 다시 돌아올 수 있고, 그러기에 ‘참여’는 지금도 필요하다. 이 영화는 우리에게 용기를 묻는다. 진실 앞에서 입을 닫을 것인가, 말할 것인가. 그리고 그 대답은 언제나 영화 밖의 세계에서 이어져야 한다. 〈1987〉은 민주주의가 한 번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누군가의 피와 눈물, 희생과 선택이 이어져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따라서 이 영화는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앞으로의 세대를 위한 경고이자 기록이다. 민주주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우리가 그것을 지켜야 할 차례다.